신체 개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체 개조는 머리카락을 자르는 행위와는 달리, 신체에 영구적인 변화를 주는 행위를 의미한다. 신체 개조의 종류에는 피어싱, 할례, 문신, 스카리피케이션, 임플란트, 코르셋 착용, 전족 등이 있으며, 문화, 종교, 미적 추구, 개인적 표현 등 다양한 이유로 행해진다. 신체 개조는 전신, 머리, 몸통, 성기, 사지 등 신체의 여러 부위에 걸쳐 이루어지며, 두개골 변형, 유방 절제, 성기 절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일부 전통 사회에서는 여성 할례와 같은 신체 개조가 인권 침해 논란을 일으키기도 하며, 현대에는 개인의 표현 수단으로 신체 개조를 탐구하는 경향도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신체 개조 | |
---|---|
개요 | |
정의 | 신체 개조는 의도적인 인간 신체 변경을 의미한다. 이는 개인의 미적, 성적, 종교적, 문화적 이유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
유형 | 신체 조직의 제거, 변형, 추가 등이 있다. |
신체 조직 제거 | |
절단 | 절단 |
지방 흡입 | 지방 흡입 |
성기 개조 및 절단 | 성기 개조 및 절단 |
남성 | 남성 포경수술 거세 음경 절단 |
여성 | 여성 성기 절제 |
신체 조직 변형 | |
피어싱 | 피어싱 |
코르셋 | 코르셋 |
조임 | 타이트레이싱 |
전족 | 전족 |
혀 가르기 | 혀 가르기 |
신체 조직 추가 | |
이식 | 이식 |
유방 확대 | 유방 확대술 |
엉덩이 확대 | 엉덩이 확대 |
펄링 | 펄링 |
성형 수술 | 성형 수술 |
문신 | 문신 |
흉터 성형 | 흉터 성형 |
참고 | |
관련 문서 | 유럽 국가의 문신 법적 지위 미국의 문신 법적 지위 형태학적 자유 |
2. 배경
서구 문화권에서는 머리카락을 자르거나 제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신체 개조로 간주되지 않는다. 신체 개조는 신체 장식과 대조될 수 있는데, 신체 개조를 "신체에 대한 물리적 변경 [...] 일시적일 수도 있고 영구적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영구적이며 신체를 영원히 변경한다"라고 정의함으로써 가능하다.[3]
신체 개조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문화에 따라 신체 개조의 범위는 다르게 인식되는데, 서양 문화권에서는 머리카락을 자르거나 제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신체 개조로 간주되지 않는다.[3]
3. 종류
신체 개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thumb
3. 1. 전신
:: 바늘로 피부에 구멍을 내고 그 안에 염료를 채워 그림을 그리는 행위이다.
:: 피부에 상처를 내거나, 고름이 생기게 하여 부풀어 오르게 하는 등 무늬를 새기는 행위이다. 의도적으로 생긴 상처 (흉터)는 석기 시대부터 확인된다.
:: 신체의 특정 부위에 구멍을 내고 거기에 장식품을 매달아 놓는 행위이다. 문화권에 따라서는 이 구멍을 점차 넓혀 신체의 일부를 고리나 끈 형태로 만들기도 한다.
:: 구슬이나 금속 등을 삽입하는 행위이다.
:: 생리 식염수를 피하 주사하여 부분적으로 비대하게 만드는 신체 변형이다. 시간이 지나면 생리 식염수는 신체에 흡수되므로 일시적인 변형이다. 혹을 형성하거나 피부의 일부를 늘여서 부풀어 오르게 하고 늘어뜨린다. 얼굴이나 머리에 시술한 상태를 베이글 헤드라고도 부른다.
:: 인체에 갈고리를 걸어 매다는 행위이다. 갈고리가 걸린 피부에는 흔적이 남고, 갈고리나 매달기 위한 도구를 그대로 몸에 남기기도 한다. 이와 유사한 전통적 행위로는 북미 인디언의 '선댄스 의식'의 '피어싱의 고행'이 있다.
3. 2. 머리
3. 3. 몸통
코르셋은 장기간 사용하면 갈비뼈, 내장, 유방이 변형될 수 있으며, 현대에는 변형을 목적으로 착용하는 애호가들이 있다. 미얀마와 태국 일부 지역의 여성들은 어릴 때부터 놋쇠 목걸이를 착용하여 목이 길어 보이게 하는 풍습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목이 긴 종족 등으로 불리지만, 실제로는 목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목걸이의 무게로 쇄골과 어깨의 위치가 내려가는 변형이다.[7] 유방 변형은 이차 성징을 맞은 여성의 유방을 절제하거나 소작하는 것을 말한다. 기독교 역사상 극히 일부 종파에서는 종교적인 금욕 생활을 위해 수녀의 유방을 절제하거나 압박하여 위축시켰다는 이야기가 있다.[7] 고전 설화에서는 유럽의 아마조네스가 알려져 있다. 함무라비 법전에서는 형벌로서의 유방 절제가 규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형벌이나 육아 금지로서의 유두 절제 의혹이나 기록이 남아있는 민족·부족이 있다.[7]
3. 4. 성기
3. 5. 사지
; 전족
: 여성의 유아기에 꽉 끼는 신발이나 천으로 발의 형태를 고정시켜 성장하지 못하게 하는 것. 현대에는 사라졌다.[9]
; 신발
: 비의도적이긴 하지만, 신발의 사용은 무지외반증 등의 발의 변형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여성용 신발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 기관 절제·손가락 절단
: 손가락, 팔, 다리 등을 잘라내는 행위. 세계 각지에서 옛날부터 볼 수 있다.[9] 현대에는 성기 절단의 경우를 포함하여, 절단한 부위를 시술자 또는 원래 소유자가 트로피 컬렉션으로 보관하는 경우도 많다.[10] 복원 불가능한 개조이기에, 시술자에게는 상담 기술도 필요하다. 팔, 팔다리, 다리 등 절단이 생명에 관련된 가능성이 큰 부위의 경우에도, 정규 자격을 가진 의료 종사자는 건강한 부위의 절단에 동의·시술하는 일은 없으므로, 절실한 사람은 스스로 절단하거나 고의로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11]
4. 논란
일부 전통 사회에서는 여성할례, 포경수술, 신생아 귀 뚫기, 목 늘리기, 유방 누르기 등을 여성 청소년과 어린이에게 강요하는 악습이 남아 있어 국제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3] 이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로 비판받고 있다.
5. 애호 활동
현대에는 여러 가지 이유로 과도한 신체 개조를 탐구하고, 이를 실연하는 퍼포먼스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 스토킹 캣은 스스로를 호랑이 모습으로 개조하려 했다. 파키르 무사파(w:Fakir Musafar)는 자신의 신체 개조를 "바디 플레이"라고 불렀다. 제네시스 & 폴라 P. 올리지의 다양한 신체 개조를 통한 변모의 모습은, 2011년 제61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의 포럼 부문에서 상영된 다큐멘터리 영화 ''The Ballad of Genesis and Lady Jaye''에 묘사되었다.[12]
또한, 신체 개조 애호가들의 대회도 열린다. 신체 개조 사이트 BME가 주최하는 세계 대회 모드콘(ModCon|모드콘영어)은 1999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제1회가 개최되었다. BEM은 2003년부터 야외 이벤트 BEM 페스트도 개최하여, 애호가들의 교류의 장이 되고 있다. 일본에서도 클럽 등에서 퍼포먼스가 열리는 경우가 있다.
참조
[1]
서적
Forensic Human Identification: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3-02-25
[2]
웹사이트
What Is Body Modification?
http://www.essortmen[...]
1986-05-16
[3]
서적
Encyclopedia of Body Adornment.
Greenwood Press
[4]
문서
吉岡(1989)pp.5-26
[5]
문서
『コンプリート』p32。
[6]
문서
『モドゥコン・ブック』p15。
[7]
문서
吉岡(1989)pp.37-50
[8]
문서
吉岡(1989)pp.132-139
[9]
백과사전
山本真鳥「身体変工」『日本大百科全書』
[10]
문서
『モドゥコン・ブック』p68
[11]
문서
『モドゥコン・ブック』pp46-53。
[12]
문서
カヴァディ祭は、ヒンドゥー教のムルガー神(Muruga)の祭。カヴァディと呼ばれる御輿や貢物を鉄串などで自分の身体に固定するという苦行を捧げ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